본문 바로가기

2025년 조기 대선, 왜 열리나? 탄핵부터 사전투표일까지 총정리

odeul 2025. 4. 9.

"아니, 대선은 2027년 아니었어?"

2025년에 갑자기 열리는 대통령 선거 소식에 많은 분들이 고개를 갸우뚱 하셨을 텐데요.

이번 조기 대선은 단순한 정치 이벤트가 아닌, 헌법과 민주주의의 흐름 속에서 일어난 큰 사건입니다.

오늘은 왜 조기 대선이 열리게 됐는지, 언제 어떻게 진행되는지, 그리고 우리가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들을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2025년 조기 대선,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이번 조기 대선의 출발점은 바로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이었습니다.

2025년 4월 4일, 헌법재판소는 국회의 탄핵소추안을 인용하며, 윤 전 대통령을 파면했습니다. 이는 헌법 제 65조에 따라 대통령이 중대한 법 위반을 했을 경우 탄핵될 수 있고, 파면이 확정되면 60일 이내에 새 대통령을 선출해야 한다는 조항에 따른 것입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 이후 정부는 곧바로 대선 준비에 착수했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025년 6월 3일 조기 대선일로 확정 발표했습니다.

 

조기 대선, 언제 어떻게 진행되나?

선거는 헌법과 공직선거법에 따라 치러지는데요, 조기 대선오 예외는 아닙니다.

다만 정기 대선보다 준비 기간이 짧고 일정이 빠듯하다는 점이 큰 차이점이에요.

 

📌 주요 일정 정리

  • 예비후보 등록 시작: 4월 초
  • 후보자 확정: 5월 초(4월 말 ~ 5월 초에 양당 대선후보 결정)
  • 공식 선거운동 기간: 5월 12일 ~ 6월 2일
  • 사전투표일: 5월 29일 ~ 5월 30일
  • 투표일: 6월 3일
  • 개표 및 당선인 투표: 투표 당일 밤 ~ 익일 오전 예정

국민이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

이번 대선은 그야말로 국가의 미래 방향을 결정할 중대한 선거입니다.

그래서 유권자로서 꼭 알고 준비해야 할 것들이 있어요.

유권자가 알아야 할 점

  • 선거 날짜와 장소 확인: 사전투표(5월 말 예정)도 활용하세요.
  • 신분증 지참: 투표 시 반드시 유효한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을 지참하세요.
  • 후보 정보 비교 분석: 공보물과 토론회를 꼭 챙겨보세요.
  • 정책 중심 판단: 정당보다는 후보의 정책과 태도에 집중해 보세요.
  • 선거 참여 독려: 가족, 친구, 직장 동료에게 투표 참여 독려도 잊지 마세요.

조기 대선은 예고 없이 찾아왔지만, 우리의 한 표는 절대 작지 않습니다.

대한민국 민주주의는 결국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참여로 지켜지는 것이니까요!

 

댓글